신규, 현재, 복귀, 휴면 유저 구분을 위해 사전 EDA 및 제품 사용 주기 분석을 진행하였습니다.
사전 EDA
제품 사용 주기 파악
유저 구분
제품 주기에 따라 아래 기간으로 유저를 구분하였습니다.
유저 그룹 | 기준 | 이유 |
---|---|---|
new(신규) | diff_week ≤ 4 | 두번째 이벤트 수행 기간 제일 많은 차이 4일이기 때문에 |
current(현재) | diff_month = 1 | 제품 사용 주기가 1달이기 때문에 diff_month가 0, 1로 설정 |
dormant(휴먼) | diff_month > 1 | 제품 사용 주기가 1달이기 때문에 diff_month가 1 이상일 경우 로 설정 |
resurrected(복귀) | 그 외 | 그 외 사용자는 복귀 유 저로 설정 |
인사이트
신규, 현재, 휴면 유저 모두 리텐션 커브가 모두 0으로 향하고 있기 때문에 리텐션 커브를 평평하게 만드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
리텐션 커브를 평평하지 않다는 것은 유저들이 PMF이 제대로 경험하지 못했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결론적으로 해당 서비스의 경우에는 PMF를 찾고 달성하는 것이 우선인 것으로 판단됩니다.
현재 유저 리텐션의 경우 2주 후 재유입된 사용자들부터 약 6주까지 리텐션 그래프가 올라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그렇기 때문에 현재 유저 그룹에서 2~6주차에 재유입된 사용자 분석을 통해서 해당 제품의 PMF를 찾아야 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휴먼 유저의 경우에느도 현재 유저 리텐션과 비슷하게 2주 후 부터 서서히 증가하다가 10주차 부터 하락하는 커브로 보이고 있습니다.
→ 그렇기 때문에 휴먼 유저 그룹의 2~10주차에 재유입된 사용자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신규 유저 리텐션
현재 유저 리텐션
휴면 유저 리텐션
복귀 유저 리텐션
→ 구분하지 못했습니다.
<aside> ❓
문의사항
제품 사용 주기를 데이터를 통해 구하고, 그것을 기반으로 리텐션을 구분하였습니다. 그래서 사용자가 활동하는 날짜 차이를 구분하여 코호트를 구분해보았는데요. 그렇게 구분하니까 2문제의 “3. 유저 구분”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그래프에서와 같이 일자별 resurrected(복귀) 유저(초록색) 그래프가 이상하게 나오더라구요. 그래서 1)결론적으로 제가 기준을 잘못 정한 것인지 아니면 쿼리문을 잘못 작성한 것인지 문의드립니다.
2) 추가적으로 사용자가 활동한 날짜의 차이에 따라 코호트를 구분하는 방법 외 코호트를 구분할 수 있는 다른 방법도 있을지 팁이 있으면 말씀주시면 참고해서 구분해보도록 하겠습니다.
</aside>